Java

[Java/자바] 삼항 연산자, 대입 연산자 (3)

둥구는 지굴다 2022. 9. 19. 17:40

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에서 사용하는 연산자 마지막 파트인 삼항 연산자, 대입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란 항이 3개인 연산자입니다.

삼항 연산자의 형태

(조건)? 조건이 참일 때 값 : 조건이 거짓일 때 값

삼항 연산자 예시 코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new Scanner(System.in);
		int age=17; //정주형 변수 age에 17값 저장
		System.out.println((age>19)?"성인입니다.":"청소년 입니다."); //age와 19를 비교 한 뒤 
        							//참이라면 "성인입니다" 거짓이라면 "청소년입니다"

}

print출력 문안에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age라는 변수는 17이라는 값을 갖고 있고

age>19라는 조건식을 넣어놨습니다. 그 뒤로 "성인입니다":"청소년입니다."라는 출력문이 있네요

"성인입니다"는 앞의 age>19의 조건식을 비교한 뒤 참이면 "성인입니다"를 거짓이면 "청소년입니다"를 출력하는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 보았네요.

따라서 age는 19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거짓이 나옵니다. 거짓이라면"청소년입니다"를 출력하겠네요 ㅎㅎ

출력 결과

삼항 연산자 예제 문제

신호등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아서 

1번을 입력하면 빨간불

2번을 입력하면 초록불

3번을 입력하면 노란불

을 입력받아

조건을 넣어 빨강, 초록, 노랑에 맞는 출력문을 만드세요.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hree_opera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신호등 프로그램★☆★☆★☆★☆");
		System.out.println("신호를 입력하세요~");	
		System.out.println("빨간불:1 초록불:2 노란불:3");
		int sign=sc.nextInt();
		System.out.println("신호입력:"+sign);
		System.out.println((sign==1)?"정지하세요":sign==2?"출발하세요":"노란불이니 서행해 주세요");
		//sign이 1일때는 정지하세요 만일 1이 아닌 값이 들어가면 다시 조건문으로 들어가 2인가요? 를 
        //물어봐 2라면 true 출발하세요 출력
		//2가아니라면 거짓임으로 노란불이니 서행해 주세요 
		
	}

}

위에 코드를 설명하자면 우선 출력문으로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줍니다.

그리고 sign이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정수 형태를 입력받아줍니다.

그 이후로 사용자가 어떠한 번호를 선택했는지 보여주고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 번호에 맞는 출력문을 보여줍니다.

sign==1  //sign이라는 변수가 1 즉, 1을 입력받았다면 

"정지하세요"

1이 아니라면 

sign==2 // sign이 2인지 비교합니다. 그리고 2가 true라면 "출발하세요"

그것마저 거짓이라면 "노란불이니 서행해 주세요"를 출력하는 

신호등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습니다.

출력 결과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새로운 연산자처럼 보이지만 이미 저희가 많이 사용하고 있던 연산자입니다.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지요

형태는 저장공간=값;

입니다.

ex) x=3, int x =3과 같이 저희가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던 연산자입니다.

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대입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 + 대입 연산자입니다.

[변수][산술 연산자][대입 연산자][값]

위와 같은 형태를 띄우고 있지요.

ex) x+=3; 은 즉, x=x+3; 과 같은 말입니다.

복합 대입 연산자의 순서는?

연산자의 연산 순서

산술이 먼저 실행되고 대입이 이후에 실행됩니다.

따라서 x+=3이 있다면 x에 3을 먼저 더해주고 =대입 연산자를 이후에 실행해 주는 것이지요

x=2;이고 x+=3이라면 x=x+3과 같습니다. 따라서

x=2+3이 됨으로

 x=5가 됩니다.


이상으로 Java의 다양한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말 기본적이면서도 어려운 것들이 많았습니다.

많이 사용해 보시면서 익수 해지길 바랄게요!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ㅎㅎ